본문 바로가기

이명수의 '마음詩처방'

나는, 봄밤이면 좋겠어요


봄이 마당 안으로 

성큼 들어왔다 느꼈을 때,

봄밤처럼 설레면 좋겠어요. 

봄밤처럼 아늑하면 좋겠어요.

또 봄밤처럼 아득해지면 좋겠어요.    


그러다가 아예 내가 봄밤이 되면 

더 좋겠어요.  

그러라고 봄이 온 거잖아요.











        "봄비는 오고 지랄이야

        꽃은 또 피고 지랄이야

    이 환한 봄날이 못 견디겠다고

            환장하겠다고

"
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- 박남준<봄날은 갔네>


봄이 출렁! 육덕좋은 몸처럼 그득해 지고 

있다는 걸 금방 알겠어. 

그런 봄 이제 다 왔다지. 

저 모퉁이를 도는 중이래. 

태생이 시인, 박.남.준.










첫 문장부터 몰아치듯 이렇게 묻는데 뜨끔하더군.


            "꽃만 피면 봄이냐

      감흥없는 사내도 품으면 님이냐"
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- 최명란<꽃 지는 소리>



아니예요. 네!











           "기다리지 않아도 오고

     기다림마저 잃었을 때도 너는 온다"
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- 이성부<봄>



그렇게 공평한 게 있다는 건

참, 다행한 일이야.













시인이 봄 벚꽃을 놓쳤던가 봐.


     "올해는 벚꽃을 보지 못했다, 아파트 현관 앞의 벚꽃을

        보지 않았을 리 없는데

      어찌된 영문인지 기억이 없다


     이런 나를 벚나무는 뭐라고 생각할까"
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- 손택수<나무의 수사학5>



돌아보니 나를 뭐라고 생각할까.. 

하는 것들 너무 많은 거라.

올핸, 놓치지 말아야지. 꽃 결심!











삼월에 내리는 눈을 보며 시인이 이렇게 운을 뗐지. 


     "봄눈은 할 말이 많은 것이다"


                     - 이문재<삼월에 내리는 눈>  



무슨 말인지 대번에 알겠드라구. 

할 말 많은 이의 말은 좀 들어줘야 하는 거 아닌가. 

저마다 자기 말만 하면 어떻게 하느냐며 타박부터 할 게 아니고.









나흘 밤 나흘 낮을 열에 들떠 신음하는 아내 곁에서 

시인이 손모아 기원하네.


        "따뜻한 봄이 오거든

   나뭇가지 가지마다 꽃이 피거든

   아내여 아내 아내, 어여쁜 아내


    꿈 속에서 깨어나듯 피어나거라

"


                     - 민영<아내를 위한 자장가>  



그 자장가, 찡허요.

이제, 봄이예요.













     "봄밤 연습없이

        툭, 하고


       꽃이 진다

"


                     - 홍오선<봄밤 연습없이>



삶의 대부분은 느닷없는 것으로 이루어 지나봐. 

이별도, 인연도, 성취도, 봄꽃도. 심지어 상처까지도. 

연습없이 그냥 살라하네. 

어느 봄밤처럼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