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이명수의 '마음詩처방'

그 시간을 어찌 말로 다 해요?



사방 10리 되는 바위가 있어요. 거기에 천년에 한번씩 하늘에서 

천사가 내려온대요. 그때 내려온 천사의 옷자락에 바위가 닳아서 

모두 없어지기까지의 시간. 

그걸 불교에선 1겁(劫)이라고 한다지요.


과장이 심해도 너~무 심해! 

그렇게 개콘의 한 개그맨을 흉내 내다가도   

‘옷깃 한 번 스치는 것도 전생에서 500겁의 인연이 있어야 한다’는

말을 들으면 웃지를 못하겠어요. 


1천겁에 한 나라에 태어나고, 2천겁은 하루 동안 길을 동행하고 

5천겁엔 한 동네에 태어난다지요. 

그렇다면 생각만 해도 겁(劫)나게 좋은 그 사람과는 

전생에 몇 천겁의 인연이 있는 것일까요.







            “오늘은 특별한 날이라고

    짜장면집 한 켠에서 짬뽕을 먹는 남녀

     해물 건더기가 나오자 서로 건져주며

  웃는다 옆에서 앵앵거리는 아이의 입에도

             한 젓가락 넣어주었다

       면을 훔쳐올리는 솜씨가 닮았다"
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-최영철<인연> 



그런 게 인연이라네. 끄덕끄덕.










세상에 다시 없을 소중한 인연인 반쪽을 만나면 

투정부리지 말라며 시인이 귀띔해 줬어.



    "당신이 잃어버린 반이 찾아온 거니까

               시간을 주세요.

       오랜 시간을 돌아오느라 지쳐서

            적응이 더딘 거니까"
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-김혜은<사랑의 시>



그렇구나. 그런 거였어. 진작 말씀해 주시지. 

그렇게 해야지요, 그럼.











               "1000일이라니요!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1000일

               이게 말이 됩니까"
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-표성배<1000일>



제목만 보고 당연히 연인들의 달콤하고 긴 인연 떠올렸지.

근데, 스스로 목숨을 깃대에 매달아 놓고 1000일 넘게 

복귀투쟁하는 노동자들 얘기래. 무슨 말을 못하겠어, 나는.










내 삶에 꽃 같은 사람을 만나 그 인연을 길게 가져 가고 싶을 때 

쓰는 방법이라며 시인이 달게 충고했지.



         "너무 느슨하지 않게

          너무 조이지도 말게


     새 한 마리 손 안에 쥐었다 하자"
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-김수정<꽃다발 묶는 것처럼>



에휴, 그렇게 죽인 인연의 새가 얼마나 많게.











   "강아지 같은 나를 키워준 손들이 모였구나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(…)

   마침내 마당 한쪽에서 배추며 부추 부침개를 부치고

         홍두깨로 민 국수를 삶고

             감자송편을 찌고

    시래기국을 끓이는 잔치가 벌어지는구나"
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-맹문재<벚꽃에 들어앉다>




그런 손들 틈에 섞여서 그런 잔치하면 얼마나 행복할까. 

그런 인연 가질 수 있다면 십 만겁이라도 기다릴 수 있겠어. 

























'이명수의 '마음詩처방'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아무리 해도 넘치지 않아요  (2) 2013.02.19
지금이, 그 절정이예요  (3) 2013.01.29
내 말이 그 말이예요  (0) 2013.01.09
모름지기 시작이란...  (1) 2013.01.02
남들은 미처 모르겠지만  (9) 2012.12.2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