과유불급(過猶不及)이 적용되지 않는 유일한 영역이 있다면
‘나’를 인정하고 칭찬하고 다독이는 일일 거예요.
그런다고 왕 싸가지거나 공주왕자병 환자 되지 않던걸요.
‘나’를 인정하는 영역에선 절대 빈곤이 더 문제예요, 늘.
기아에 시달리는 아프리카 아동에게 비만이 걱정이라며
식사 조절 시키면 다들 어이없지 않겠어요.
내게 ‘무조건’이 아니면 누구에게요?
‘나’를 더 마음껏,
고무하고 지지하고 선동하고 찬양하시길요.
아무리 해도 넘치지 않아요.
아직도 고무.찬양죄가 시퍼런 국보법도 그런 거는 못 잡아가요.
“옳거니 네가 나를 알아 보누나"
-고은<별똥>
외딴 밤길 홀로 갈 때는 강아지만 동반해도 든든하다잖아.
살다보면, 누가 나를 알아주는 순간들이 있어.
특히 내가 나를 알아 보는 그 순간의 안도와 희열이란.
어쨌거나 단 한 줄로 다 말했네 뭐.
원샷 원킬의 詩스나이퍼, 고.은.
"그가 내 얼굴을 만질 때
나는 새 순과 닮아서 그에게 발돋음하네
때로 뾰루지처럼 때로 갯버들처럼"
-송재학<그가 내 얼굴을 만질 때>
누가 내 손 잡거나 눈길 보내줄 때 대부분 갯버들처럼이면 참, 좋겠어.
"왼쪽으로 기운 것은 오토바이가 아니라 나의 생이야
기운 것이 아니라 내 생이 왼쪽을 딛고 가는 거야
몸이 기운 쪽이 내 중심이야
기울지 않으면 중심도 없어"
-이원<영웅>
그럼그럼. 몸이 기운 쪽이 내 중심이고 말구.
그런 정도를 안다면 누구라도 영웅 칭호 받을 만 해.
"어렸을 때 명아주 밭에 들어간 적이 있다
보드라웠던 듯도 하고 까실했던 듯도 하다
무뚝뚝했던 듯도 하고 나른했던 듯도 하다
(…)
아무튼 나지막이
명아주 밭이었다"
-황인숙<명아주>
어렸을 때 명아주 밭처럼 보드랍고 강건하게 나를 감싸주고
알아주는 사람 있으면 세상에 못할 게 무어고 무서울 게 뭐야.
"옷아, 너도 힘드니까 쉬어라
(…)
구두야, 너도 애썼다
네가 찍은 무수한 발자국으로
오늘을 이루었다"
-박주택<하루>
옷이나 구두가 그런 정도이니 ‘나’란 존재는 어떻겠어.
가장 먼저 안부를 물어야 할 사람은 나이고 말구.
"나는 손을 들어
세상의 머리를 쓰다듬어 준다
자다가 깨어난 아이처럼
세상은 배시시 눈을 뜨고
나를 향해 웃음 지어 보인다"
-나태주<눈부신 세상>
나를 잘 지지하고 고무.선동.찬양 하면
세상의 머리를 쓰다듬고도 남을 만큼의
스케일과 배포가 생기드라구. 경험해 보니.
영차! 세상의 모든 나들^^
'이명수의 '마음詩처방'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그댄, 전생에 나라를 구했을 거예요 (1) | 2013.04.02 |
---|---|
나는, 봄밤이면 좋겠어요 (3) | 2013.03.12 |
지금이, 그 절정이예요 (3) | 2013.01.29 |
그 시간을 어찌 말로 다 해요? (0) | 2013.01.16 |
내 말이 그 말이예요 (0) | 2013.01.0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