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이명수의 '마음詩처방'

모름지기 시작이란...

하루를 마치고 짝지와,

곰처럼 서로 부비며 잠을 청할 때가 가장 행복하다는 

말을 들으며 내 시작도 그랬으면 좋겠다 생각했습니다.   

모름지기 모든 시작은 적당히 설레고 적당히 편안해야 하는 거 아닌가요.   

계사년(癸巳年), 새해라고 예외일 순 없지요^^







        “내가 채송화처럼 조그마했을 때

                꽃밭이 내 집이었지

내가 강아지처럼 가앙가앙 돌아다니기 시작했을 때

               마당이 내 집이었지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(.....)
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내가 내가

                아주 어렸을 때,


                 내 집은 많았지

       나를 키워 준 집은 차암 많았지"
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-이준관<내가 채송화꽃처럼 조그마했을 때>



생각 나!

그런 집 얼마나 많았는지. 아유. 










"함박눈 바다 한가운데 태왁 하나 떠 있었네


이런 날 이 날씨에 어쩌자고 물에 드셨나

아들 등록금을 못 채우신 가슴인가"
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-강문신<함박눈 태왁>



새해 첫 날의 서귀포 앞바다를 전하는 시인의 눈을 따르다가 

'어쩌자고...' 대목에서 눈이 매워 혼났어.











먹이 사슬 꼭대기에 살았던 공룡이 죽은 이유는 먹을 줄만 알고 

먹힐 줄을 몰랐기 때문이라지. 그 말을 전하며 시인이 덧붙이더군.


          "산다는 것은 주고받는 것입니다

주기만 하면 신적인 존재고 받기만 하면 암적인 존재입니다"
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-권석창<어느 신부님의 강론> 



맞아.   

지금처럼 출발선상에 있을 때는 이런 얘기가 족집게 과외처럼 더 쏙쏙 들어와.










작년에 피었던 소국(小菊) 앞에서 시인이 물었다지.



                "너, 나를 알아보겠니?

     나는 네가 십 년 만에 피어나도 대번에 알아볼 텐데"
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-김종미<대면>



그냥 물었을 뿐인데, 왜 그렇게 마음이 짠한지 몰라.

넌, 올해도 내년에도 나를 몰라보지 않을 거야, 그렇지?











         "폭풍이 올 거라는 건, 그냥 예보예요

      표지와 본문 사이에 낀 간지 같은 거예요

      눈앞에 다가올 일을 아는 건 쉬운 일이지만

                 그건 그냥 예보예요"
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-강은진<일기예보>




그럼요. 오로지 예보에 짓눌리고 휘둘리는 사람 보면 얼마나 딱하게요. 

앞날이 궁금해요? 

궁금하면... 그냥 내가 저벅저벅 걸어가면 돼요. 

간단한 걸 뭘 미리 땡겨서 오백 원까지 지불하며..^^