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이명수의 '마음詩처방'

남들은 미처 모르겠지만

세상에 상처없는 사람이 어디 있나요. 

꽃으로 맞아도 눈송이와 부딪쳐도 상처 입는 게 사람이래요. 

누구나 그렇다네요. 

모든 상처를 혼자서 다 이겨낼 수 있는 사람은 세상에 없습니다. 

그러니 사람은 함께 사는 것일지도요. 

다른 사람에게 공감하는 능력을 키우기 위해 

‘상처’가 존재한다는 말이 그렇게 공감되더라구요, 저는.







    “두 모녀 전철 안에서 이야기꽃을 피운다


            소리 없어 더 눈부신

          상처 어르는 저 손의 말
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꽃잎을

              다 떨어뜨리고

            숨 돌리는 손가락"
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-김영주<수화手花> 



손으로 피우는 꽃(手花)이라. 

너무 아름다워 가슴이 다 철렁한 느낌.  










"아편은 붉은 양귀비꽃의 상처였다 덜 익은 열매에 흠(欠)을 낸 즙액이다 

독이 독을 다독인다... 누군가 말한 치유의 힘센 이는 헤로인, 힘센 상처는 

강렬하다"
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-안정옥<헤로인>



세상의 모든 '상처입은 치유자'를 위하여 두손모아_()_











"세상 모든 것들은 서로의 관심 속에서 빛이 나는 것인가


아이의 머리를 쓰다듬으면 얼굴빛이 밝아지고, 아픈 마음을 쓰다듬으면 

환하게 상처가 아물고, 돌멩이라도 쓰다듬으면 마음 열어 반짝반짝 

대화를 걸어오듯이"
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-김선태<말들의 후광> 



시인의 감성적 호들갑인 거 같지? 

아냐! 안 해봤으면 말을 하지 마세요.










        "소처럼 묵묵한 산이라고 해서

            울고 싶을 때 없겠는가

            알량한 높이 죄 버리고

    무너져 내리고 싶을 때 왜 없겠는가

         더구나 온 몸에 상처가 나고

         날마다 그 생채기 덧나 쓰려

        더는 참을 수 없게 되었을 때"
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-박수진<우면산 울다>



山도 가끔 그렇게 속을 토해 내야 산다는 거잖아. 

하물며 사람은 더 말해 뭐해.











          "산이고 구름이고

    물가에 늘어선 나무며 새까지

          겹쳐서 들어가도

    어느 것 하나 상처입지 않는다..


   하늘이 들어와도 넘치지 않는다

          바닥이 깊고도

               높다"
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-권정우<저수지>




겹쳐서 들어가도 어느 것 하나 상처입지 않다는다네. 

그런 정도의 스케일인지 몰랐어. 

그럼 난, 물이나 될까봐.^^

 























'이명수의 '마음詩처방'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내 말이 그 말이예요  (0) 2013.01.09
모름지기 시작이란...  (1) 2013.01.02
절대강자 맞아요  (1) 2012.12.19
기억나죠? 그 위무(慰撫)의 손길...  (1) 2012.12.12
문득, 겨울이라네요  (0) 2012.12.05