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이명수의 '마음詩처방'

문득, 겨울이라네요


어떻게 모를 수 있겠어요.

매운 바람으로 티내고,

적막한 그리움으로 밤을 길게 하는데.

오래전 내가 깊은 눈 속에 파묻어 두었던

청동거울 하나 마주하게 되는 시간.

12월 그리고 겨울입니다.










어떤 문장은 읽을 때마다 마음이 착 가라앉곤 해.

가령,



          “게장국에 코를 박으면

           강구항에 눈이 설친다

        게발을 때릴수록 밤이 깊고

        12월의 막소금 같은 눈발이

     포장마차의 국솥에서도 간을 친다"
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-송수권<겨울 강구항>



겨울 강구항 같은 시간들, 그리워라.













겨울에 한 해가 바뀌는 이유를 혹시 아시는지?

 


          "따뜻하다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가를

다른 사람의 난로가 되어 되어준 사람인가를 시험하려는

               하느님의 오래고 오랜 계획"
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-공광규<겨울에 한 해가 바뀌는 이유>



그렇구나. 처음 알았어.

월동준비 쎄게 해야겠네, 이번 겨울엔.














                "한겨울 못 잊을 사람하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한계령쯤을 넘다가

                뜻밖의 폭설을 만나고 싶다"
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-문정희<한계령을 위한 연가>



이윽고 날이 어두워져 그 눈부신 고립이 공포로 변해도,

구조 헬기에 결코 손 흔들지 않겠다는 사랑의 결기에 눈물겨웠지.

그렇게 못 잊을 사람이라니..

하필 겨울에.












      "한겨울에 짚으로 군불을 땐 적이 있었다

                  온돌이 식을 새벽 무렵

    짚단에 통째로 불을 붙여 아궁이 깊이 넣으면

              짚불은 긴 시간 속불이 탔다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쇳물처럼 선홍빛으로
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짚은 꽃불이었다

            짚은 따뜻한 온돌의 가슴이었다"
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-박찬선<7>



난 짚이 될까, 온돌이 될까.












하정임 시인의 첫 문장 읽는데 불현듯 설레며, 겨울이 실감나는 거라.



"겨울이 깊어가니 눈이 내렸고, 밤이 깊어가니 애인이 찾아왔고,

                사랑이 깊어가니 이마가 따가웠다"
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-하정임 <겨울의 이마>




더 뭘 바래.

깊어지라, 겨울이여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