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이명수의 '마음詩처방'

누구에게나 엄마가 필요하고 말구요!


친정 엄마의 육신이 타는 화장장 굴뚝 연기를 보면서

저 연기 잡아라외치다 쓰러진 늙은 딸이 있었다지요.

그리움의 천길 낭떠러지가 있다면... 그랬을 거예요.

언제고 누구에게고, 엄마가 필요하지요


 




     "언젠가 수백 명의 어머니들이 광장에서

아들의 유해를 기다리는 사진을 본 적이 있어요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(...)

           제발 나를 혼자 두고 가지 마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나는 엄마야"
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                  - 김혜순<검은 브래지어>



아아, 나는 엄마야..라니.

사무쳐서, 무릎이 꺾이는 느낌




 



          "끓는 물 속에 던져진 게가 있다

       땡볕 속에 일생을 보낸 어머니가 있다"
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                               -길상호<식욕>


 

첫 문장이 딱 그런 거라.

가슴 속에 허연 서리가 내릴 수밖에.

아유,



 




          "바람난 어여쁜, 엄마가 보고 싶다"
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                             -김선우<봄날 오후>



늙은 엄마에 대한 장성한 딸의 이 깊은 애정이라니. 

나도, 지금 엄마가 계신다면 꼭 그런 맘이고 싶어. 





 



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"맨발로 살며시

           운주사 산등성이에 누워 계시는

                  와불님의 팔을 베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겨드랑이에 누워

                푸른 하늘을 바라본다

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엄마...

"
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                               -정채봉<엄마>



두 살 되던 해, 미처 말도 배우기 전에 엄마가 돌아 가셔서 

한번도 ‘엄마’란 소리를 못해 봤다는 중년 사내가 운주사에 가서

신을 벗고, 양말도 벗고 가만히 누워 생전 처음 이 단어를 불러 보았다지.  

그리운 시인, 정.채.봉.





 





 "어린 그가 눈에 티끌이 들어가 쓰라려 했을 적에

          어머니는 혀끝으로 핥아 빼주었다

                그날부터 눈알이 밝아져

    그는 어머니가 하려던 일을 먼저 볼 수 있었다"
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                               -하종오<혀의 가족사>



그래서 엄마가 필요한 거잖아.

누구에게나 엄마가 필요한 거 맞아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