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이명수의 '마음詩처방'

때론 눈물도 말입니다!


에이, 무슨.

그렇게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.

하지만 그런 증언 얼마나 많게요.

더없이 절절하면요.

설움이 끝까지 복받쳐 오르면요.

그런 땐 눈물이 곧 말(言)이 됩니다.









     "아무도 없는 곳에서의 눈물은 질문이다"
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                      - 이은규 <물 위에 찍힌 새의 발자국은 누가 지울까>



시인이 다짜고짜 이렇게 운을 떼는데 갑자기 막막한 거라.

그 질문에 대답할 말이 뭐 있겠어.

무슨 말을 하든 현문(賢問)에 우답(愚答)일 수밖에.











     "내 쓸쓸한 날 분홍강 가에 나가

     울었지요,

     내 눈물 쪽으로 오는 눈물이 있으리라 믿으면서"
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    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                   - 이하석 <분홍강>



나는 누군가에게 분홍강 같은 사람이면 좋겠어.

강물 위에 내 눈물 하나 보탠다고 표도 안 날거지만,

그래도 우는 이는 알거야. 그럴 거야.











     "눈물 속에 한 사람을 수몰시킬 수도 있고

     눈물 한 방울이 그를 얼어붙게 할 수도 있다"
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     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                 - 신철규 <유빙>



눈물이 그렇게 할 수 있다는 거잖아. 놀랍지?













     "남이 노래할 땐

     잠자코 들어주는 거라,

     끝날 때까지,

     누군가 울땐 가만히 있는 거라

     그칠 때까지"
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                               - 윤제림 <소쩍새>



경험해 보니, 청춘에 가까울수록

누군가의 눈물 그칠 때까지 기다려 주는 게

그렇게 어렵드라고.

그칠 때까지 단지 기다려 주기만 하면 되는데.

때론 눈물도 말이래.


박용래 시인은 그렇게 잘 울었다네.

전하는 말에 의하면 "모든 아름다운 것들은 그의 눈물을 불렀다.

갸륵한 것, 어여쁜 것, 소박한 것, 조용한 것, 알뜰한 것,

인간의 손을 안탄 것, 저절로 묵은 것" 그 모든 것들이

눈물을 불렀다는 거야. 가히, 시인이로고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