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이명수의 '마음詩처방'

묻지도 따지지도 않고...




내가 사랑하는 사람이라면,

미혼모면 어떻고, 직업을 바꾸면 어떻고, 번번이 지는 싸움하면 어때요.

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응원해 줘야 마땅하죠.

그런 응원자 있어야 사람은 살 수 있어요.

당연히, 나의 첫 번째 가장 큰 응원자는

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여야지요








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"그런 날이 있다

         지하철 첫 차를 타고 가는 여자가

         차창에 떠 있는 자기 모습을 보고

             우는 것을 본 적이 있다"
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                  - 박형준<투명한 울음>



마치 내가 차창의 그녀 얼굴을 본 것처럼 아린 느낌. 

누구나 한번쯤 그런 경험 있을 거야. 

아마 지금도 누군가는














백 미터 늦게 달리기 시합에 느티나무가 출전했다지.

                그 자태가 이러할 거래. 

     "출발선에 슬슬 뿌리를 내리고 서 있다가

         한 오 백년 뒤 저의 푸른 그림자로

        아예 골인 지점을 지워버릴 것이다"
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                               이원규<속도>



늘 늦어서 고민하는 내게 그녀가 어느 해 생일 선물로 준 詩.

진짜 생일 기분 나드라니까.












     폐병 걸린 사내를 스물 갓 넘어 만났던 여인이 있었나 봐.

                “산가시내 되어 독오른 뱀을 잡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백정집 칼잽이 되어 개를 잡아

청솔가지 분질러 진국으로만 고아다가 후 후 불며 먹이고 싶었네"

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                             허수경<폐병쟁이 내 사내>



괜히 내가 다 좋드라구. 

그 정도 후원이면 뭘 못 하겠어. 

일어 섰을거야, 사내는. 












        "달리는 기차로 별 떼를 옮겨 보았니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잘했다


       열리지 않는 대문 앞에서 별을 울었어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잘했다


       별 볼 시간도 없이 숨 사이 사이 살았지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잘했다"
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                        - 함민복<누구나 별이 될 수 있다>



내가 좋아하는 시인, 함민복이 다 잘했대. 

잘했다. 잘했다. 잘했다. 그럼 됐지 뭐. 














        "나는 어제 산책을 나갔다가 흙 길 위에

누군가 잔가지로 써놓은 ‘나’라는 말을 발견했습니다

  그 누군가는 그 말을 쓸 때 얼마나 고독했을까요?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(...)

          나는 문득 그 말을 보호해 주고 싶어서

       자갈들을 주워 주위에 빙 둘러 놓았습니다"
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                               - 심보선<‘나’라는 말>



울컥. 

그러니까,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