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이명수의 '마음詩처방'

기억나죠? 그 위무(慰撫)의 손길...



밤새 끙끙 앓고 눈을 떴는데 누가 내 손을

따뜻하게 감싸안고 있던 느낌, 그거요!

혼자 다 껴안을 수 없으니까 위로가 있는 거잖아요.

괴로움을 덜어주고 슬픔을 달래준다는 데

위로하지 못할 이유가 뭐예요.

남이나 나나










               “한밤중

         열 달 된 젖먹이가 운다

        엄마의 마른 젖을 물고서

                 서럽게


              아내도 운다"
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-박성한<위로> 



이런 게 위로, 맞긴 해요. 

지금 아기에게 젖을 물리고 있는 세상 모든 엄마들에게. 

영차 젖^^ 













      "한 손으로 다른 손목을 쥐고

   병원으로 실려오는 자살기도자처럼

    우리는 두 개의 손을 가지고 있지

   밤낮없이 꽃등을 내단 봄 나무에게도

             위로는 필요하다


눈물과 콧물과 침을 섞으면서 오열할 구석이

   엎드린 등을 쓸어줄 어둠이 필요하다"
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-이현승<연루>



나무에게도 위로가 필요하고 말구.  

이제 알겠어. 손이 두 개인 이유를.

그거면 충분해. 














김규동 시인의 첫 문장을 읽는데 그렇게 위로가 되는 거라.



        "등불이 언제까지나 희미한 적 없어요

      나도 당신과 같은 고통의 길 걸어왔지요"
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-김규동<인사>



살아 생전 늘 꼿꼿했던 시인, 김.규.동.












  "헤맨다고 다 방황하는 것은 아니라 생각하며

            미아리를 미아처럼 걸었다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(.....)

                 길이 너무 미끄러워

  그래도 낭떠러지는 아니야, 중얼거리며 걸었다"
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-천양희<2월은 홀로 걷는 달>



무턱대고 위로하자는 말이 아니라 실제로 그런 거잖아. 

홀로 걷다 보면 알게 되는 일.













                 "앓는 병 나으라고

  그집 가서 마당에 솥을 걸고 불만 때다 왔다

       오고 온 병에 대해 물어 무엇하리,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(.....)

         마른 씨앗처럼 누운 사람에게

           바늘 같은 새살은 돋으라고

        한 계절을 꾸어다 불만 때다 왔다"
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-문태준<불만 때다 왔다>




그런 쓰리쿠션의 위로가 고마울 때 있어.

그런 위로가 마른 꽃대에 물 오르듯 

마음에 깊이 스며들 때 있어. 

그런 위로가 절실한 날들이여. 

그대와 나, 우리 모두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