‘내 삶에서 가장 잊을 수 없는 밥상’을 떠올리다 보면
내가 어떤 사람인지 극명하게 깨닫게 됩니다.
육하 원칙을 따로 배운 바 없어도 그 순간이
4D 영화보다 더 생생하게 촉각 후각 청각 미각으로
기억됩니다.
그런 순간에 밥벌이의 지겨움이나 밥먹는 일의 지루함은
그냥 관념에 불과합니다.
온 우주가 밥 안에 들어 있어서 그렇습니다.
밥이 목숨이고 사람이 밥이다, 라는 말이
괜히 나왔을라구요.
"밥 한 숟가락
목으로 넘기지 못하고
사흘 밤낮을
꼼짝 못하고 끙끙 앓고는
그제야 알았습니다.
밥 한 숟가락에 기대어
여태
살아왔다는 것을"
-서정홍<밥 한 숟가락에 기대어>
밥 한 숟가락에 기대어 사는 목숨이라는 걸 아는 순간,
삶에 대해 얼마나 착해 지게요.
"돌이켜보면 흰 쌀밥에 왜간장을 넣고
살살 비벼 먹던 때가 따듯한 것 같다
뒤돌아보면 시커먼 보리밥에 고추장을 넣고
싹싹 비벼먹던 때가 얼얼한 것 같다"
-박만진<비빔시를 쓰고 싶다>
그런 밥이라야만 제일 맛있다는 의미는 아닐 거야.
'원형'이 가진 힘 혹은 ‘본질’의 속성이랄까.
밥이 본래 그러하듯.
"나이 쉰다섯에 과수가 된 하동댁이 남편을 산에 묻고
땅을 치며 돌아오니 여든 둘의 시어머니가 문에 섰다 하시는 말"
-이종문<밥도>
시의 전문(全文)이 그래.
‘밥을 줘’도 아니고 그냥 ‘밥도’야.
허기처럼 창자가 찌르르 하더군.
무슨 말을 더 하겠어.
"매화가 피어서
남자는
차마 어쩌지를 못하고 흰 꽃나무 밑을 서성거렸겠다
밥을 짓고 나물을 무치고
고촌 여자는
둥근 접시 위에 붉은 매화 한 가지를 꺽어 올렸겠다"
-유홍준<고촌高村>
요즘 그런 사랑이 어딨어, 코웃음치거나 밀쳐놓지 마.
따뜻한 밥 한끼 나눌 수 있으면 그까이 꺼, 사랑.
“식탁을 보라
죽지 않은 것이 어디 있는가
그래도 식탁 위에 오른 푸성귀랑
고등어자반은 얼마나 즐거워하는가
(....)
이빨과 이빨 사이에서 터지는 식탁의 즐거움
아, 난 누군가의 밥이 되었으면 좋겠네“
-정철훈<식탁의 즐거움>
세상에나.
나는 한번도 자청해서 누군가의 밥이 되었으면
좋겠다고 생각해 보지 못했어.
내가 누군가의 밥이 될까 그것만 걱정했지 뭐야.
"한겨울, 서울역 지하도를 지나다가
한 노숙자가 자고 있던 동료를 흔들어 깨워
말하는 것을 들은 적이 있다
먹어둬!
이게 마지막일지 모르잖아"
-고영민<끼니>
밥,을 그렇게 마지막처럼 먹어야 하는
공동체가 있다면 무언가 크게 잘못된 게 분명해!
"밥 냄새는 구수하다
참 사랑은
먹는 자가 먹히는 자가 되는 거여
밥이 되는 거여, 라고
아직 밥이 되지 못하고
낱낱의 쌀알로 맴도는 아들에게
밥되기를 가르치시는
나의 어머니, 나의 예수여!"
-고진하<사랑의 밥>
밥이, 나의 예수고 부처인 거 맞아요.
아아, 밥 같은 그대여!
@ 힐링톡을 트위터/페이스북을 통해서도 받아보세요.
* 트위터 주소 : www.twitter.com/mindprism4u
* 페이스북 주소 : www.facebook.com/mindprism4u
'이명수의 '마음詩처방'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그리움을 무슨 수로 견뎌요? (3) | 2013.08.27 |
---|---|
아아, 밥이여, 밥 같은 그대여 2 (0) | 2013.08.06 |
당신으로 충분하고 말구요 (3) | 2013.06.25 |
무슨 말이 필요해요. 국수나 한 그릇 하면 되지요. (0) | 2013.06.04 |
당신 잘못이 아니에요 (21) | 2013.05.1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