눈이 비로 바뀌어 내리고 얼음이 녹아서 물이 된다는 뜻의 우수는
봄의 첫 절기로 올해는 2월 18일입니다.
‘우수ㆍ경칩이면 대동강 물도 풀린다’는 유명한 속담에 등장하는
바로 그 절기로 겨울 추위가 가시고 봄기운이 온 산천에 퍼지기
시작하면서 초목에 새싹이 돋아나고 동물들도 동면에서 깨어납니다.
강이 풀리면서 수달은 수면 위로 올라오는 물고기를 잡아 먹이를 마련하고
추위가 더 익숙한 기러기는 봄기운을 피해 북으로 이동합니다.
햇봄의 여러 징후들을 분주하게 보여주는 절기, 우수입니다.
예전엔 아삭한 김장김치를 담근 후 몇 달이면
집집마다 신 김치가 넉넉했습니다.
그 쉰 냄새나 맛만 따지면 인기 없을 법도 하지만
늦겨울 신 김치의 활약은 대단합니다.
보글보글 돼지고기 김치찌개는 역시 신 김치가
제맛이고, 신 김치 꼭 짜서 총총 썰고 두부 으깨
만두소를 넣으면 엄마표 김치만두 완성입니다.
신 김치랑 청양고추 송송 썰어 넣고
밀가루와 계란 잘 반죽해 기름 둘러 부쳐내면
바삭한 김치전도 어렵지 않아요~
그뿐인가요? 집집마다 고유한 김치볶음밥 노하우는
없는 집이 없습니다.
한 끼 식사로 대접받지 못하는 라면도
신 김치와 함께하면 풍부한 유산균과 무기질,
섬유질의 도움으로 영양의 불균형을 어느 정도
잡아준다지요.
요즘엔 훌륭한 보관과학^^ 덕분에
원하는 만큼만 익힌 김치를 쉽게 먹지만,
겨울 끝 배고픈 이 밤…
신 김치로 만든 야식이 훅~ 끌립니다.
'24절기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봄을 구별하는 절기, <춘분>입니다. (0) | 2013.03.20 |
---|---|
'호흡이 느껴지는 절기' <경칩>입니다. (0) | 2013.03.05 |
긴 겨울 끝 봄내음을 기다리는 <입춘>입니다. (0) | 2013.02.04 |
설을 앞둔 마지막 절기 <대한>입니다. (0) | 2013.01.19 |
추위가 가장 매섭다는 <소한>입니다. (0) | 2013.01.0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