커피재배 현황을 조사하러 아프리카에 갔던 한 경제학자는
그곳 아프리카의 가뭄과 기아의 고통을 목격한 후,
아프리카의 참상을 알리는 데는 경제학 보고서보다 사진이 더
유용하다는 결론을 내리고 사진 찍는 일로 직업을 바꾸었습니다.
잘 알려진 대로,
그 주인공은 20세기 최고의 다큐멘터리 사진작가로 평가받는
세바스티앙 살가도(Sebastiao Salgado)입니다.
아프리카의 참상을 알리는 데 ‘경제학 보고서보다 사진이 더
유용할 것’ 이라는 살가도의 결론은 다른 사람의 지지를 쉽게
받을 수 없었을 겁니다.
경제학처럼 이론적 근거가 명확한 사실이 아니라 남들은 잘
알 수 없지만 내 마음속에서는 내적 근거가 확실한,
그런 부류의 결론이었을 테니까요.
더구나 경제학 박사씩이나 되는 사람이 사진 찍는 일을
직업으로 삼겠다고 했을 때 주위 사람들이 보였을 그 관습적인
반대와 핏대는, 안 봐도 비디오 아니겠어요?
남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내 소망을 조목조목 설명할 수 없다고
해서 그것이 잘못된 것이라는 법은 세상 어디에도 없습니다.
그냥 그런 것처럼 생각될 뿐입니다.
최고의 심리경호는,
남의 맘을 잘 살피고 보호하는 것이 아니라 내 소망과 내 감(感)을
있는 그대로 감지해 내고 지지해 주는 일입니다.
혜신+명수
'그림에세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세상 모든 남자들의 바람 (2) | 2012.11.23 |
---|---|
'나도 한때…' (4) | 2012.11.19 |
당신이 늘 옳다 (3) | 2012.11.12 |
결핍 동기 (2) | 2012.11.09 |
엄마가 기억하는 나 (2) | 2012.11.05 |